학습과 인지 의견 수렴사항 정리
1. 학습도구 정하기
- 학습도구를 구글 닥스로 할 것인가 다른 위키 소프트 웨어를 찾아볼 것인가 고민할 것.
(학습자들의 흥미와 리터러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2. 학습 대상 관련
- 위키를 사용한다는 것은 문서정리를 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는 의미인데
이를 잘 활용할 수 있는 학습자가 되어야 학습 효과를 볼 수 있지 않을까?
(초등학교 6학년 정도의 학습자들에게 위키를 쓰라고 할 경우 생산적인 내용을 주고 받을 가능성이 낮을 수도 있음) --> 그래서 학습 방법을 가르치는 기간을 둔다고 설정하였는데
학습자들이 방법을 습득하지 못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함
- 의미있는 결과를 도출하려면 적어도 중학교 이상은 되어야 할 것 같다고 함
(초등학교 6학년 정도면 자기 의견을 말하고 한글 정도는 다룰 수 있다고 여겼고, 인지적 유연성이 기르기 적절한 연령대가 언제인지를 찾아보지 않았다는 함정이 존재하였음)
3. 학습 과제 관련
- 처음에 학습 과제를 수학으로 정하면 구조화된 문제와 비구조화된 문제를 만들어 내기 용이할 것 같아 수학과목으로 정하려 하였으나 컴퓨터로 저작을 하는 특성의 위키로는 한계가 있을 것 같기에 사회나 통합교과가 어떻냐는 제안을 받음
(예. 구조화된 문제 - 서술형 문제이나 답에 해당하는 키워드가 존재하는 문제
비구조화된 문제 - 문제의 본질은 같으나 주어진 맥락을 고려하고 다양한 답안을 도출 할 수 있는 문제)
이정도만 되어도 선행연구 찾아보고 설계를 조금은 구체화 할 수 있을것 같다.
연구는 혼자 하는 것이 아니라는 이야기가 괜히 있는 것이 아니다.
내 논문도 이렇게 동기들하고 대화도 하고 하면서 재미있게 썼으면 좋겠다.
선배들이 논문 마무리하는 것을 보면서 뭔가 아쉽기도 하고 한 편으로 부담도 되는 요즘.
- 학습도구를 구글 닥스로 할 것인가 다른 위키 소프트 웨어를 찾아볼 것인가 고민할 것.
(학습자들의 흥미와 리터러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2. 학습 대상 관련
- 위키를 사용한다는 것은 문서정리를 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는 의미인데
이를 잘 활용할 수 있는 학습자가 되어야 학습 효과를 볼 수 있지 않을까?
(초등학교 6학년 정도의 학습자들에게 위키를 쓰라고 할 경우 생산적인 내용을 주고 받을 가능성이 낮을 수도 있음) --> 그래서 학습 방법을 가르치는 기간을 둔다고 설정하였는데
학습자들이 방법을 습득하지 못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함
- 의미있는 결과를 도출하려면 적어도 중학교 이상은 되어야 할 것 같다고 함
(초등학교 6학년 정도면 자기 의견을 말하고 한글 정도는 다룰 수 있다고 여겼고, 인지적 유연성이 기르기 적절한 연령대가 언제인지를 찾아보지 않았다는 함정이 존재하였음)
3. 학습 과제 관련
- 처음에 학습 과제를 수학으로 정하면 구조화된 문제와 비구조화된 문제를 만들어 내기 용이할 것 같아 수학과목으로 정하려 하였으나 컴퓨터로 저작을 하는 특성의 위키로는 한계가 있을 것 같기에 사회나 통합교과가 어떻냐는 제안을 받음
(예. 구조화된 문제 - 서술형 문제이나 답에 해당하는 키워드가 존재하는 문제
비구조화된 문제 - 문제의 본질은 같으나 주어진 맥락을 고려하고 다양한 답안을 도출 할 수 있는 문제)
이정도만 되어도 선행연구 찾아보고 설계를 조금은 구체화 할 수 있을것 같다.
연구는 혼자 하는 것이 아니라는 이야기가 괜히 있는 것이 아니다.
내 논문도 이렇게 동기들하고 대화도 하고 하면서 재미있게 썼으면 좋겠다.
선배들이 논문 마무리하는 것을 보면서 뭔가 아쉽기도 하고 한 편으로 부담도 되는 요즘.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