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과 인지 연구 주제 피드백 모음
학습과 인지 시간에 조별로 이티엘에서 각자의 연구로 토론을 하는 활동을 제안하셔서 일주일동안 이티엘에서 선생님들의 연구 주제를 확인하고 피드백을 제공하고 댓글도 달고있다. 내가 가장 첫번째여서 교육심리, 교육평가, 아동학과 석,박사 선생님들께 피드백을 받았다.
제목: 위키를 활용한 협력학습이 인지적 유연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가설
1. 면대면 학습보다 위키를 활용한 협력학습에서 인지적 유연성에 더 큰 차이를 보일 것이다.
2. 위키를 활용한 협력학습에서 의사소통 활동 빈도가 높을수록 인지적 유연성이 더 높을 것이다.
3. 위키를 활용한 협력학습에서 과제저작 활동 빈도가 높을수록 인지적 유연성이 더 높을것이다.
--------------------------------------------------------------
1. 소셜미디어와 관련된 내용이 매력적으로 느껴졌어요. 연구 부제에 소셜미디어의 교육적 활용과 관련된 설명을 넣으면 Wiki를 처음 접하는 사람도 제목을 보고 논문내용을 유추하기가 쉬울 것 같습니다.
Re: 제목이 큰 범주를 표현해야 하므로 소셜미디어를 포함 시키고 부제에 위키활용 협력학습이라고 쓰는 방식을 고려해보겠습니다.(두개의 옵션을 만들어 보겠습니다.)
2. Wiki가 소셜미디어의 교육적 활용의 사례의 하나라면, Wiki의 어떤 요소들이 소셜미디어의 교육적 활용을 대표할 수 있는지 설명해주면 좋을 것 같습니다. 단순히 Wiki가 좋다는 것을 이야기하고 싶은 것인지, Wiki의 유용성이 여타 소셜미디어적인 교육적 방법들도 유용하다는 논의로 확대, 일반화될 수 있는지가 궁금합니다.
Re: 넵, 완료 보고서에 포함하여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소셜미디어의 특성을 갖고 있는 대표적인 플랫폼이 위키이므로 소셜미디어의 특성을 적용한 학습방법이 인지적 유용성 증가에 도움이 되는지를 보고자 하였습니다.
3. Wiki가 소셜미디어적인 교육매체로서 지니는 특징을 분석한다면, 면대면 협력교육과 차별화되는 특징들 (예를 들어 인지적 유연성을 높인다)도 자연스럽게 도출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그 차별화되는 특징들이 제시된다면 뒤에서 제시되는 연구문제들도 더 의의를 가지게 될 것 같습니다.
Re: 넵, 면대면 학습의 특성과 위키기반 협력학습의 특징을 구분하여 설명하는 부분을 추가하겠습니다.
4. 저작활동 빈도와 같은 객관적인 지표와 함께 연구가 사용자의 내적 과정을 탐색하는 데에 의의가 있는 만큼, 사용자의 주관적 인식도 측정해보면 재미있지 않을까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냥 의견입니다.)
또한 양자택일적인 사용도 좋지만 wiki와 면대면 협력학습을 동시에 사용할 때 서로의 장단점이 보완이 되어서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들기도 하였습니다.
Re: 주관적 인식이 연구된 결과는 많아서 그 부분을 선행연구에 추가시키도록 하겠습니다. 또한 선생님이 말씀하신 동시 학습이 블렌디드 러닝이라는 이름으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부분인데요, 고려해봄직한 내용일거라는 생각이 드네요.
5. 일주일에 몇 번 몇 시간과 같이 학습시간의 변수를 통제하는 것이 필요하지 않을까 생각이 들었습니다. 또한 학습내용에 따라서 결과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4학년 국어과목 몇 단원’과 같이 학습내용을 한정 짓는 것도 신뢰성 있는 결과를 내는데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합니다.
그 외에 통제해야할 변수들이 많을 것 같은데 제 지식이 부족해서 더 이상 생각이 잘 나지 않습니다. 통제해야할 변수들이 잘 지정되면 누구나 납득할 수 있는 좋은 결과가 도출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Re: 계획서이기 때문에 통제변인에 대해 아직 구체적으로 생각해보지 않았는데 대상은 확실히 변경해야 할 것 같고, 그 외에 과제나 통제변인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고민해보겠습니다.
6. 제 생각이지만 방법론은 이대로 진행해도 되지 않을까요?^^ 교수님 코멘트대로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서 의사소통과 과제해결 저작활동 빈도를 같이 독립변수로 넣어서 표준화회귀계수값을 비교해보는 것도 의미가 있을 것 같습니다.
Re: 넵. 통계 공부를 제대로 하여 조금도 의미있는 내용을 도출해보려 노력하겠습니다.
-----------------------------------------------------------------
1. (제가 잘못 기억하고 있는거 같은데^^) 어제 말씀하실 때에도 초등학생이 실험대상으로 생각해두신거 아니였는지요^^? 초등학생 대상으로 하는 이유도 언급이 되면 어떨까 싶습니다~ Re: 네, 지금은 초등학생으로 설정이 되어있습니다. 저같은 경우에 만약 실험설계를 진행한다면 초등학생이 제가 그나마 쉽게 컨택할 수 있는 대상이라서 초등학생으로 잡은 것입니다. 그런데 가능하다면 컴퓨터 사용이 능한 대상으로 하면 또 다른 결과가 나올수도 있지 않을까 싶긴 합니다.ㅠㅠ 선생님 말씀대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이유에 대해서 추가 설명을 보태면 더 탄탄할 것 같아요.^^
2. 여기에서 관찰을 통하여 학습자들의 협력학습 과제 행동을 보겠다고 하셨는데, (제가 잘 몰라서^^) 협력학습 과제 행동을 “관찰”하는데 집중적으로 지켜봐야 할 루브릭 같은게 있는지요^^? (아니면, 협력학습 관찰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제시해주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Re: 네, 저도 쓰면서 이부분이 조금 불안했는데 잘 지적해주셨습니다.^^
협력학습을 평가할 수 있는 도구를 조금 더 찾아봐야 할 것 같아요.^^
----------------------------------------------------------------
1. 선생님. 궁금한게 있는데, 총 인원이 60명이라고 말씀하셨는데, 실험집단의 구성은 왜 29명인가요? 단순 오타인건지... 아님 29명이라고 언급한 데 이유가 있는지 궁금하네요!
그리고, 협력학습을 하는데 적당한 인원으로 6명으로 고려하신 것 같은데, 5개의 그룹을 선정한 것에 대한 의도가 있으신건지..
Re: 협력학습 집단 구성시 적절한 인원수 4-6명, 임의 배정, 대략 잡아서 우선 구성한 배치
2. 두 집단의 비교할 때, 종속변수가 인지적 유연성인 데 카이제곱 검증을 사..용하나요? 저는 가설1을 읽었을 때, 두 집단간의 인지적 유연성에 대한 차이를 검증하신다고 생각하여 t검증을 사용하실 것이라고 예상하였는데, 카이제곱 검증을 사용하는 이유가 궁금하네요..(제가 실험 설계를 제대로 이해 못한건가요ㅜ.n)
그리고 가설 검증하실 때, 기본 가정에 관해서도 고려하시면 좋을 것 같아요^^
Re: 차이를 검증할때 리커트 척도의 평균 값을 활용하는 거면 t검증이 맞음. 기본가정이라 함은 뭘 말씀하시는 건지?
---------------------------------------------------------------
아직 가야할 길이 멀다는 사실을 깨닫고 하나하나 피드백 주신 내용들을 참고해가며 추가하고 수정할 부분은 수정을 해야할 것 같다.
더하기.
통계 공부를 열심히 하지 않으면 내가 하고자하는 연구에는 한계가 분명히 있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