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 learning 내용 정리 3.

Chap. 6 Modality Principle(감각적 양상의 원리)
글을 쓸 때 스크린에 글로 제공하지 말고 청각적 설명을 이용하라.
인지 이론상 학습자들은 글로 프린트된 글자와 사진을 함께 보면 인지 부하가 일어나지만 청각적 채널과 시각적 채널을 각각 이용하면 적당한 밸런스를 이루어 인지 부하가 덜 일어난다.
같은 시각적 자료를 제공하고 한 그룹은 나레이션을 시각자료와 함께 제공하고
다른 그룹은 프린트된 글과 시각자료를 제공하였을때 나레이션과 시각자료를 제공한 그룹이 학습 성취도가 높다는 결과가 있다.

Chap. 7 Redundancy Principle(불필요한 중복의 원리)
시각자료(그림이나 그래프)와 나레이션, 프린트된 나레이션 글을 동시에 제공하지 마라.
위와 같을 경우 작업기억 내에 시각 채널의 인지 부하가 일어나 효과적인 학습 결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그러나 인지부하가 일어나지 않는 상황에서 불필요한 중복의 원리의 예외가 존재할 수 있다. 나레이션과 나레이션 글이 동시에 제공되는 경우의 예(영어가 모국어가 아닌 학생들이 이러닝 방식으로 영어학습을 할 때, 텍스트와 그에 해당하는 그래픽이 차례대로 제공되거나 발표의 속도가 이해가능할 정도로 충분히 느릴 때 등)

오늘은 여기까지만(저저번주ㅜㅜ) 정리하자.
이제 저번주 정리할 차례인데 이번주 예습을 해야한다..ㅠㅠ
저저번주 발표는 재밌게 잘 들었는데 저번주는 내가 발표여서 사실 다른사람 발표를 열심히 못들었다.ㅠㅠ 그래서 천천히 잘 읽고 이해해야 한다.
이러닝 프로그램을 구성할 때 고려해야 할 점과 관련된 책인데 나름대로 다른 곳에도 유용한듯 하다.
내용 뿐만 아니라 이 책에서 제시한 실험 방법을 읽고 학습과 인지 실험 설계를
따라 해봤더니 철저한 통제를 보장하지 아니하더라도 어느 정도 갖추어진듯 보였다.

1년 마무리를 하는 과정이니 많이 생각하자.
기승전 생각, 주제...흑

Comments

Popular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