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 learning 정리 4.
Chap 13. Learning together virtually(가상에서 함께 학습하기)
- 협력학습이란 무엇인가?(두명이상의 학습자가 함께 학습하는 것)
- 사회적 독립성: 각각의 팀원들이 스스로 팀 활동에 참여할 경우 긍정적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는 신념을 갖고 행동하는 것
- 결과 목표: 협력학습의 결과의 목표를 개인적인 학습의 성취로 정할 것이냐, 팀프로젝트 산출물의 질로 볼것이냐?
- 협력적 대화의 질: free-rider가 생길 가능성이 높으므로 잘 짜여진 협력학습 방법을 구성해야 한다.
- 협력적 대화의 질: free-rider가 생길 가능성이 높으므로 잘 짜여진 협력학습 방법을 구성해야 한다.
- Computer Supported Collaborative Learning(CSCL)이란 무엇인가?
- 두명에서 다섯명사이의 학생들이 하나의 그룹이 되어 동시적이거나 비동시적으로 컴퓨터도구를 활용하여 산출물을 만들어내거나, 실제 상황 문제를 해결하거나, 토론을 하거나, 정해진 문제를 풀거나, 학습과제를 완성하는 활동에 참여하는 것(블로그, 이메일, 채팅, 메시지 보드, 온라인 컨퍼런스, 소셜 네트워크, 위키 등)
- 협력학습의 일반적인 특징
- 함께 학습을 하는것이 혼자 학습하는것보다 더 큰 학습 성취를 가져온다.
- 협력학습을 하면 더 높은 질의 산출물을 만들어 낸다.
- 온라인 협력학습을 하면 성찰과 아이디어를 더 공유하기 쉽기 때문에 더 높은 질의 산출물을 기대할 수 있다.
- 다양한 배경의 학습자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만들어야 한다.
- 개인 학습 성취에 목적을 둘 경우 짝을 신경을 쓰고 창의적인 문제를 해결할때는 충분한 전문가를 포함할 수 있도록 세명에서 다섯명을 한 팀으로 구성한다.
- 사회적 실재감은 높은 만족도를 이끌어 낸다.
-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CSCL요소
- 협력학습의 결과물, 그룹 구성, 기술, 과제 내용, 그룹 활동내의 절차와 역할, 그리고 지도 방법, 시간, 팀 능력, 사전지식, 보상
(Continued)
Comments
Post a Comment